주민등록증을 매일매일 가지고 다니기 귀찮았는데요 앞으로는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쉽게 민증을 항상 가지고 다닐 수 있게 됐습니다. 앞으로는 공항 등 신분 증명을 위해서 실물 주민등록증을 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스마트폰 정부 24 앱을 통해서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를 활용해 편하게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행정안부에서는 6월 29일부터 '정부24' 안드로이드 앱을 통해서도 스마트폰에 주민등록증을 이용할 수 있는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운영한다고 말했습니다.
모바일 확인서비스 뭘까?
실물 주민등록증이 없어도 성명, 사진, 주민등록번호, 주소, 발행일 그리고 주민등록기관 등 기존 주민등록증에 수록된 사항을 스마트폰 하나로 주민등록증에 수록된 모든 사항을 핸드폰 화면에 표출해주고 이의 진위를 확인해서 신분확인이 가능합니다.
시범 운영하는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는 개정된 주민등록법에 따라서 신분을 확인한 경우에 실물 주민등록증을 확인하는 것과 똑같은 효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굳이 실물 주민등록증을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습니다.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은 일상생활에서 성인여부를 확인할 때, 공항, 여객터미널에서 탑승자 신분 확인할 때, 민원서류 접수할 때, 자격을 인정하는 증서 발급할 때, 계약이나 거래할 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확인서비스 등록방법은?
해당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본인 명의의 스마트폰으로 서비스 등록을 해야 사용할 수 있는데요, 등록은 정부 24 앱에 접속한 다음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 메뉴에서 통신사 패스를 통한 인증과 기본정보를 입력한 후 간단한 절차를 거치면 사용 가능합니다. 그럼 등록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1. 정부 24앱 다운로드를 한다.
2. 로그인을 한다.( 간편 인증, 통신사 패스)
3.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한다.
4.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를 누른다. 이때 주민등록증을 준비하고 안내에 따라서 주민증을 스캔 혹은 입력하고 확인을 누른다.
모바일 확인서비스 사용제한이나 보안은 괜찮은가?
해당 시범운영은 신분확인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 주민등록이 말소된 경우, 또는 분실 실물 주민등록증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을 때 마찬가지로 해당 서비스도 이용이 불가합니다. 이 서비스는 편리한 신분확인뿐만 아니라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도 고려하여 설계했는데요, 주민등록번호와 기재되어 있는 주소는 지문 또는 얼굴, 생체인증을 한 이후에 상세정보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또한 도용 및 대여를 방지하려 본인 명의의 스마트폰 1대에서만 사용 가능할 수 있게 해 놨으며, 화면 캡처 차단 및 일정 시간이 지나면 QR을 초기화하여 보안을 높였습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 확인은 어떻게?
스마트폰에 등록한 주민등록증 정보는 정부 24앱의 '사실/진위 확인' 메뉴에서 모바일 확인 서비스의 QR을 촬영, 또는 검증 API를 통해서 진위여부를 확인 가능합니다. 현재 편의점 3사에서는 계산대에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API 기술개발을 완료하여 서비스 활용기관에서는 QR코드를 스캔하여 성인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 앞으로의 계획은?
행정안전부에서는 개정된 주민등록법에 따라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의 시범 운영을 하여 다양한 모바일 기기에서 발생하는 불편사항을 점검하고 개선하여 본격적으로 시행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IOS(아이폰)에서는 오는 7월 말부터 서비스를 할 예정입니다. 이어 하반기에는 KT, LG U+, SKT 3사 통신사의 패스 인증 앱에서도 주민등록증을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를 확대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