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oney tip

전세금 반환보증보험, 가입조건과 신청방법 알아보기

by 집순돌 2022. 8. 4.

 

오늘은 전세금 반환보증보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전세금 반환보증보험은 전세계약 이후 임차인이 바로 가입을 해야만 보증을 받을 수 있는데요, 온라인으로 가입할 수 있기 때문에 전세를 계약한 후 당일에 해야만 보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보증 대상금액은 수도권은 최대 7억 원 까지고, 수도권이 아닌 지역은 5억 원 이하입니다. 아래에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해요.

 

전세금 반환보증보험이란?

전세 계약 종료 이후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반환해야 하는 전세보증금의 반환을 책임지는것이며, 보증대상 전세보증금은 수도권은 7억 원, 그 외에 비수도권은 5억 원 이하입니다.  신청기간은 전세 계약기간의 1/2 경과 이전까지 가능하며, 신청할 때 제출해야 하는 서류가 있으니 아래에서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 제출서류 )

공통서류 

  1. 주민등록등본 및 신분증 사본
  2. 전세 계약서 사본
  3. 전세보증금 지급 확인서류 (ex: 계좌이체내역서, 무통장입금증 등)
  4. 부동산 등기부등본
  5. 전입세대 열람내역

 

단독, 다중, 다가구 추가 서류

  1. 타 전세 계약 체결 내역 확인서
  2. 건축물대장

 

 

보증료는 어떻게 되는가?

보증료는 보증금액 × 보증료율 × 전세계약기간/365 입니다. 아래 사진에서 해당하는 유형을 확인해보시면 될 것 같네요. 

 

보증료는 할인이 가능한데요, 저소득,청년, 다자녀, 장애인, 고령자, 노인부양, 독거고령자, 신혼부부, 한부모, 다문화, 국가유공자, 의사상자 가구  및 모범납세자 분들은 보증료를 할인받을 수 있답니다. 

 

전세금 반환보증보험, 신청은 어떻게 할까

방문해서 신청을 하기 위해서는 지사 또는 위탁은행에 방문해서 신청이 가능하며, 인터넷으로 신청하는 경우에는 주택도시 보증 공사 홈페이지에 "인터넷보증" 을 선택한 후 신청이 가능합니다. 

주택도시 보증공사 홈페이지 바로가기

모바일로도 신청이 가능한데요, 아래에 순서를 적어 두도록 할게요.

  • 네이버 부동산 ▶ 금융상품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 카카오페이 ▶ 간편보험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 KB국민은행 ▶ 국카몰 APP ▶ 라이프샵 ▶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

이렇게 네이버 부동산, 카카오페이, 국민은행 모바일을 통해서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LIST